1. 응집력의 개념 및 정의
'응집력'이란 용어는 '굳게 결합하다'하는 뜻으로, '구성원으로 하여금 집단에 남아 있도록 하는 전체적인 힘의 장' 혹은 '성원으로 하여금 집단에 남아 있도록 하는 모든 힘의 작용에 의하여 나타난 결과'로 정의된다. '집단이 분열하려는 힘에 대한 저항'이라고 정의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응집력을 성원들을 집단에 끌어들이는 힘과 집단의 분열에 저항하는 힘이라는 관점에서 이해되고 있다. 스포츠 응집력은 단순 차원보다 사회응집력 차원과 과제응집력 차원으로 구성된 양면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응집력을 집단구성원의 애착도와 집단에 계속 소속하는 힘, 집단 유지의 총체적인 힘으로 볼 수 있다.
2. 집단에서의 사회적 태만
1) 사회적 태만의 대표적인 연구
① 링글만 효과 : 집단에서 사회적 태만을 다룰 때 가장 고전적으로 인용되는 연구로 약 100여 년 전 독일의 사회심리학자 링글만이 실시한 연구이다. 그는 여러 사람이 한 집단을 이루어 일하게 될 때, 개인의 평균은 집단 성원의 한 개인으로부터 기대할 수 있는 결과와 일치하지 않고 오히려 더 저하되었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후 집단의 크기가 커질수록 개인 수행의 평균이 감소하는 현상을 '링글만 효과' 라 불렀다.
② 사회적 태만 : 라타네 등 은 집단 수행에 관한 연구를 다양하게 진행하면서 그들의 연구결과에서도 링글만 효과가 발견되자 집단에서 발생하는 동기 손실을 '사회적 태만' 이라고 불렀다. 윌리암스와 동료 연구진 역시 실험을 통해 입증한 동기 손실에 대해 개인 수행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는 집단 속에서 개인의 노력이 파악되지 않으면 수행이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하며, 반대로 구성원들의 개인성과에 대한 확인을 가능하게 되면 (예: 다른 사람에게 개인성과가 알려짐) 사회적 태만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밝혀냈다.
2) 사회적 태만의 이론
① 슈타이너 모형 : 슈타이너는 개인과 집단 수행의 관계에 대해 집단의 실제 생산성은 잠재적 생산성과 집단 과정의 관계에 따라 결정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집단구성원의 지식과 기술로 구성되어 있는 집단 자원이 좋을 때 그리고 그러한 집단자원이 과제와 관련이 있을 때 잠재적 생산성이 높아진다고 주장했다. 집단과정이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 나타나는 것을 제시하기 위해 조정손실과 동기손실을 제시했다.
② 사회적 태만의 통합 모형 : 카라우와 윌리암스는 연구결과를 종합한 통합 모형을 제안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틀은 다음과 같다.
㉠ 사회적 영향력 이론 - 개인이 집단 속에서 일하면 사회적 영향은 여러 집단구성원에게 확산되며, 집단 크기가 증가하면 늘어난 집단구성원의 사회적 영향을 덜 받게 된다는 이론이다.
㉡ 각성 감소 - 욕구 이론과 맥락을 같이하는데, 집단에서 일하면 각성이 낮아지므로 단순 과제에 대한 수행을 감소시키지만 복잡한 과제에 대한 수행은 증가시킨다는 이론이다.
㉢ 평가 접근 - 집단에서 개인의 노력을 확인하고, 그 노력을 비교할 수 있는 기준이 있다면 평가를 통해 사회적 태만을 예방할 수 있다는 이론이다.
㉣노력 불필요 - 집단적으로 일하면 자신의 노력이 집단성과를 높이는 데 꼭 필요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노력이 줄어든다는 이론이다.
3) 사회적 태만의 감소 방안 : 카라우와 윌리암스는 구성원이 집단에서 노력을 많이 발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구성원 개개인의 노력이 집단 수행뿐만 아니라 개인 수행과도 연관되어야 하며 집단 수행은 바람직한 집단성과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이 제시한 사회적 태만 감소방안은 다음과 같다.
㉠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집단 수행을 평가할 수 있다고 믿는 상황 조성
㉡ 소집단에서 일하는 상황
㉢ 자신의 노력이 집단성과에 반드시 공헌한다고 믿는 상황
㉣ 집단의 수행을 비교할 수 있는 기준이 있는 상황
㉤ 내적으로 흥미 있는 일, 의미 있는 일, 타인에게 중요한 일, 개인이 많이 개입하는 일을 하는 상황
㉥ 존경하는 사람과 함께 일하는 상황이나 집단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상황
㉦ 동료의 수행이 나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
㉧집단이 좋은 성과를 내는 것에 대해 가치와 중요성을 부여하는 성격을 갖고 있을 때
3. 집단응집력 이론
1) 스포츠 팀 응집력 이론 모형 : 스포츠 심리학 분야에서 응집력을 가장 체계적으로 연구한 학자들은 응집력에 관한 개념적 틀을 개발하고, 스포츠 분야에 적합한 고유의 팀 응집력 모형을 제시했다. 응집력을 결정하는 요인은 크게, 환경 요인, 개인적 요인, 리더십 요인, 팀 요인으로 구분되고, 응집력의 결과는 집단적 성과와 개인적 성과의 두 가지 일반적인 결과로 구분된다고 주장했다.
① 환경 요인 : 환경은 스포츠 집단의 응집력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일반적인 요인이다. 계약상의 의무, 규범적 압력, 조직의 지향성, 지리적 요인, 집단의 크기 등이 있다.
② 개인적 요인 : 개인적 특성이 같은 사람들은 서로 모이기 쉽고 더 강한 응집력을 가진다. 응집력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일반적인 인적 요인은 개인의 사회적 배경, 개인차, 성별 그리고 개인의 만족도이다.
③ 리더십 요인 : 스포츠 팀에서의 리더십은 리더의 행동,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리더십 스타일을 포함한다.
④ 팀 요인 : 응집력 발달과 관계된 팀 요인으로는 팀의 생산성, 과제의 구조, 팀의 안정성, 의사소통, 집단의 투과성 그리고 팀의 구조 등이 있다.
2) 집단응집력 측정 모형 : 집단에 대한 개인적 매력과 집단통합의 두 가지 중요한 범주 나누어진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이 두 가지 범주는 다시 집단의 목표에 따라 각각 과제 응집력과 사회적 응집력으로 나누어진다. 이 개념 모형에 의하면 스포츠 팀의 응집력은 팀에 대한 믿음과 인식에 관련된 4개의 차원을 가지며, 이들 네 차원은 서로 역동적으로 작용하여 전체 응집력을 결정한다. 여기에서 세부적으로 과제 응집력은 성원들이 일정한 과제를 성취하기 위해 함께 일하려는 정도를 나타내고, 사회적 응집력은 성원들이 서로 좋아하고 함께 있는 것을 즐기는 정도를 나타낸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포츠 수행의 사회적 촉진Ⅰ (0) | 2023.09.06 |
---|---|
스포츠 수행의 리더십 (0) | 2023.09.05 |
스포츠 수행의 루틴 (1) | 2023.09.04 |
스포츠 수행의 심상과 주의집중 (0) | 2023.09.03 |
스포츠 수행의 목표설정과 자신감 (0) | 2023.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