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운동심리이론

by 샤이님 2023. 9. 10.

 1. 합리행동 이론과 계획행동 이론

원래 투표 참가 행동을 예측하기 위해 개발된 이론이며, 개인의 '의도'가 행동을 유도하는 결정적인 원인이라고 보는 이론이다.  이 두 이론은 모두 행동을 실천하려는 의도가 있는지를 알면 행동을 예측할 수 있다고 본다. 의도는 행동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이라는 두 가지 요인에 의해 형성된다. 즉, 운동 같은 건강행동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행동에 대한 태도), 운동을 해야 한다는 주변 사람들의 기대와 압력을 받는 것(주관적 규범)에 의해 운동의 의도가 형성된다.

두 이론에 따르면 운동을 실천하려면 운동을 해야겠다는 의도를 강하게 품는 것이 필요하다. 체육 지도자는 운동의 의도 또는 의지를 높이는 데 필요한 도움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의도를 갖고 있어도 행동으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 행동을 통제할 수 있는 자신감이 없을 때는 의도가 행동으로 잘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운동심리이론

계획행동 이론은  합리적 행동 이론에 행동통제 인식이라는 개념이 추가되었다. 합리적 행동 이론에 포함된 의도만으로 행동을 예측하는 데 한계가 있어 새로운 개념을 추가한 이론이다. 행동통제 인식이란 운동행동을 방해하는 요인을 통제할 수 있는 자신감을 의미한다. 행동통제 인식은 의도와 행동 모두에 영향을 준다. 이 이론에 따르면 운동에 대한 의도와 함께 운동을 방해하는 일에 대해 어떻게 성공적으로 대처할 것인가에 대한 전략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2. 건강신념 모형

건강신념 모형에 따르면 질병의 위험성 인식이 건강행동의 실천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질병은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고(질병 발생의 가능성 인식), 질병이 발생하면 심각한 문제라는 생각(질병의 심각성 인식)은 질병의 위험성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 개인 배경과 사회심리적 배경이 이러한 인식에 영향을 준다.

운동심리이론

그리고 건강행동을 실천함에 따라 얻을 수 있는 혜택과 방해요인에 대한 생각도 연관되어 있다. 운동을 포함한 건강행동을 실천으로 옮기는 것은 질병 발생의 가능성에 대한 인식과 건강행동 실천에 따른 손실과 혜택을 비교해서 결정된다. 질병이 발생하면 심각한 상황이 되며 자신도 그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있고, 그 행동을 함에 따라 얻는 이득이 손실보다 크다고 생각하면 건강행동을 실행으로 옮기게 된다.

언론의 보도, 타인의 조언, 주변에서 질병의 목격은 질병의 위험성 인식에 단서 역할을 한다. 이 모형은 운동 같은 건강행동을 실천함에 있어 질병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있다. 운동행동을 예측하기 위해 개발된 이론이 아니라 질병에 초점을 두고 제안된 이론이므로 운동행동을 일관성 있게 예측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재미, 사회성, 체력증진, 도전과 성취감 등 운동실천을 유도하는 요인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은 운동행동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활용하는 데 있어 단점이다.

3. 자기 효능감 이론

자기효능감이란 특정 상황에서 주어진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개인의 믿음을 말한다. 자기 효능감 이론에 따르면 어떤 행동은 자기 효능감으로 예측이 가능하다고 본다.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행동의 실현 가능성이 높아진다. 운동행동도 마찬가지이다. 자기 효능감은 금연, 체중 관리, 재활 훈련 등 여러 건강 상황에서의 행동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운동심리이론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건강행동을 더 많이 실천한다. 운동실천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자기 효능감이 높아지면 운동실천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실천 수준이 높아지면 자기 효능감이 다시 높아지는 순환관계도 있다. 운동을 처음 시작하거나 장애 또는 질병으로 운동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의 경우 자기 효능감이 특별히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4. 변화단계 이론

운동이  최근에 운동실천을 위한 매우 효과적인 이론으로 받아들여지는 변화단계이론은 운동행동의 변화를 5단계로 구분해서 설명하는데 다음과 같다. 무관심 단계, 관심단계, 준비단계, 실천단계, 유지단계가 그것이다. 무관심 단계는 가장 낮은 단계로, 운동을 실천하겠다는 마음 자체가 없는 단계이다. 가장 높은 단계는 유지 단계로, 가이드라인을 충족하는 수준의 운동을 6개월 이상 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유지단계를 지나면 종결단계에 진입한다. 종결단계는 운동을 5년 이상 꾸준하게 해 왔고, 더 이상 퇴보가 이루어지지 않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에 들어가면 평생 운동을 습관화하는 수준을 보인다.  변화단계 이론에서 행동의 단계를 변화시키는 데 자기 효능감, 의사결정 균형, 변화과정이 영향을 준다고 본다. 자기 효능감은 반두라의 자기 효능감 이론에 포함된 개념과 동일하다.

운동행동의 변화단계와 자기 효능감은 연관되어 있다. 단계가 낮을수록 운동에 대한 자기 효능감이 낮다. 무관심단계일 때 자기 효능감이 가장 낮으며, 유지단계와 종결단계에서 가장 높다. 의사결정 균형이란 운동을 하는 것에 대해 결정을 내릴 때 일종의 손익계산을 하는 개념이다. 운동뿐만 아니라 다른 어떤 행동을 변화시키고자  할 때에는 그 행동을 했을 때 얻는 혜택과 손실을 비교한다. 따라서 스포츠지도자라면 회원이 어떤 단계에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 필요하다. 만약 관심단계에 있는 회원이 있다면 이들에게 운동으로 얻을 수 있는 많은 이득에 대해 알려주어 다음 단계인 준비단계로 이동하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다.

운동심리이론

변화과정이란 개념도 변화단계이론에 포함되어 있다. 행동에서 변화가 일어나기 위해, 즉 아래 단계에서 바로 상위 단계로 진전하기 위해서는 과정이나 전략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 이론에서는 인지과정과 행동과정을 거치면서 다음 단계로 변화가 일어난다고 본다. 인지과정이란 운동에 대해 태도, 생각, 느낌을 바꾸는 과정으로 변화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얻는 과정이다. 행동과정은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행동측면에서 새로운 시도가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운동을 방해하는 유혹을 멀리하기 위해 리모컨을 안 보이는 데 두거나 신체적으로 활동적인 시도를 조금씩 하는 것이 여기에 포함된다.

5. 생태학 이론

생태학 이론에서 '생태'라는 용어는 어떤 특정 변인 하나가 아니라 여러 관점 또는 여러 모델을 합친다는 의미가 들어 았다. 사회생태학 이론에서는 환경과 행동이 상호작용을 한다고 간주하고, 여기에 영향을 주는 개인 내적(생물학적), 개인 관계적(가족, 직장 동료), 기관(학교, 기업), 정책(각종 규정), 프로그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기존에 개인의 동기나 지식에만  초점을 두고 운동실천을 설명하려고 했기 때문에 운동실천을 높이는 데 별 도움이 안 되었다고 보고 개인 내적 변인뿐만 아니라 사회적 환경, 물리적 환경, 정책 변인을 모두 중요하다고 본다. 사회생태학 이론에서는 이들 모든 요인에 관심을 기울이지만, 특히 운동을 위한 물리적 환경이 운동실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가 다수 보고되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포츠 심리상담의 개념  (0) 2023.09.14
운동심리학의 운동실천 중재전략  (0) 2023.09.12
운동의 심리적 효과  (1) 2023.09.09
스포츠 수행의 사회성 발달  (0) 2023.09.08
스포츠 수행의 사회적 촉진Ⅱ  (0) 2023.09.07